◌ 경제&뉴스/해외뉴스&경제

미국경제 소식 | 미국 재무부 장관 인플레이션에 약화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

노트 기록자 2023. 12. 13. 10:14
728x90

 

WSJ의 CEO 카운슬 서밋에서 재무장관은 닉 티미라오스에게 인플레이션 약화와 함께 지속적인 경제 성장이 미국 경제에 가장 가능성 있는 결과라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내용을 요약해보면,

 

재닛 옐런은 미국 경제가 성장을 지속하고, 강력한 노동 시장을 유지하며, 인플레이션이 감소하는 '소프트 랜딩' 상태에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최근 데이터는 인플레이션이 연준의 목표에 접근하고 있으며, 이 과정이 큰 어려움을 야기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했습니다.

 

미국인들은 장기적인 높은 인플레이션을 예상하지 않고 있으며, 이는 인플레이션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실질 금리의 상승은 연준의 향후 금리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미국 경제는 견고하지만, 많은 미국인들이 경제에 대해 부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높은 금리는 연방 정부의 차입 비용을 증가시키고 있습니다. 또한, 사회보장 및 메디케어 지출의 증가는 재정적 도전을 제기하고 있다고 언급 했습니다.

 

WSJ의 CEO 카운슬 서밋에서 미국 재무부장관이 말한 내용을 정리해 보면

 

1. 경제 상황 : 재닛 옐런은 미국 경제가 성장을 지속하고, 노동 시장이 강력한 상태를 유지하며, 동시에 인플레이션이 감소하는 '소프트 랜딩'을 경험하고 있다고 언급.


2. 인플레이션 동향 : 최근 데이터는 인플레이션이 연방준비제도(Fed)의 2% 목표에 점차 근접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이 과정이 미국인들에게 큰 어려움을 주지 않을 것으로 예상.


3. 인플레이션 기대 : 과거와 달리, 미국인들은 장기적으로 높은 인플레이션을 예상하지 않고 있으며, 이는 인플레이션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


4. 금리 정책 : 인플레이션이 감소함에 따라 실질 금리가 상승하고 있으며, 이는 향후 연준의 금리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5. 경제 전망 : 옐런은 미국 경제가 견고하지만, 많은 미국인들이 경제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음을 지적.


6. 재정 정책 : 높은 금리는 연방 정부의 차입 비용을 증가시키고 있으며, 사회보장 및 메디케어 지출의 증가는 재정적 도전을 제기.

 

미국 재무부장관이 언급한 내용을 바탕으로 향후 글로벌 경제와 한국경제에 미칠 영향을 개인적인 관점에서 생각해보면,

 

미국 경제가 '소프트 랜딩'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는 신호는 분명 글로벌 경제에 긍정적으로 보입니다. 미국 경제의 안정은 세계 경제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는 국제 무역과 투자에 긍정적인 환경을 조성해 주기 때문입니다.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소 추세는 글로벌 인플레이션 압력 완화에 큰 역활을 하며 이는 원자재 가격과 글로벌 공급망에 영향을 미치고 한국을 포함한 수출 의존도가 높은 국가들에게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 될 수 있습니다.

 

미국 경제의 '소프트 랜딩' 은 한국의 주요 수출 시장으로서 긍정적인 신호를 보내는 것이지만 미국의 금리 상승은 한국은행의 금리 정책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국내 대출 비용과 투자 환경에 부정적 영향을 주게 됩니다.

또한, 미국 연준의 금리 정책은 글로벌 금융 시장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는데 실질 금리의 상승은 글로벌 자본 흐름과 환율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이는 한국을 포함한 신흥 경제국들의 외환 시장과 금융 안정성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상황 입니다.

 

어쨋던, 미국 경제의 '소프트 랜딩'은 긍정적인 신호로 볼 수 있으나, 미국 연준의 금리 정책으로 외환 시장에서의 한국은 여전히 신경을 바짝 써야 한다는 말이 되겠습니다.

 

오늘도 슬기로운 경제가 되길 바랍니다.

728x90